산모의 나이에 따라 임신 합병증 위험성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임신중독증,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와 같은 임신 합병증의 증상과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출산 연령 상승 (노령 출산 증가)
2021년 통계청 발표(참고 자료 1)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4세로 2011년의 31.4세에 비하여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연 0.2세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비율도 2021년에는 35.0%로 2011년의 18%에 비하여 급증하였습니다. OECD 회원국의 첫째 출산 연령 비교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32.3세로, 자료가 있는 31개 회원국 중에 가장 높았으며 참고로 미국은 27.1세, 영국은 29.1세, 일본 30.7세였습니다. (*평균: 29.4세)
2. 임신 합병증 증가
국내외의 많은 연구에서 산모의 연령 증가는 임신 합병증 증가와 연관됨이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나이에 따른 임신 합병증의 증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아는 것은 부부가 임신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죠. 필자가 보는 산모 중에서는 고위험 산모들이 많습니다. 부부가 좀 더 일찍 임신을 계획했더라면 피할 수 있었던 임신의 합병증을 생각하면 ‘모르는 것이 약인’ 것이 아니라 ‘아는 것이 힘’입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 단태 임신 초산모(첫 번째 임신)들 약 55만 명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모 나이에 따른 주요 임신 합병증의 증가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구분
|
증상
|
비고
|
임신중독증
|
○임신 후 혈압이 높아지고 단백뇨가 나오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 산모에게 위험을 끼치거나 또한 조산의 원인이 됨. 두통, 시야 혼탁, 폐부종, 경련 등의 증상을 보임
○주요증상은 고혈압, 단백뇨, 부종입니다. 고혈압이 생기고 신장혈관수축으로 신장이 손상되어 단백뇨가 생겨 부종이 생깁니다. ○단, 부종이라고 할지라도 고혈압이나 단백뇨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조심해야 할 임산부 -만35세이상의 임산부 -고혈압을 앓았던 적이 있는 임산부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당뇨를 앓고 있는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임신중독 자각증상 점검 포인트 -팔과다리 혹은 얼굴과 몸이 심하게 부음 -체중이 일주일 동안 0.5kg이상 늘음 -우측 상복부 통증 -시력이 저하되고 두통이 심하게 나타날 때가 있음 -심장이 두근거리고 가슴에 통증 있음 -감기몸살과 비슷한 고열과 오한 있음 -뒷목이 심하게 뻐근하고 아프다 -불면증에 시달림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 |
태아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병임
|
전치태반
|
○태반이 자궁 경부 즉 입구를 막고 있는 경우입니다.
○통증 없는 출혈이 나타납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서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태반조기박리
|
○정상적인 분만일 경우 태아가 자궁 밖에 있는 동안 태반이 자연스럽게 나옵니다. 태아가 나오기 이전 태반이 먼저 떨어지는 것이 태반조기박리임.
○고령 임산부나 출산 횟수가 많을 때 발병률인 높음. ○자궁벽이 벗겨지는 것을 태반박리라고 함. ○갑작스런 통증 후 태아가 움직이지 않거나 출혈이 있는 경우 수술이 가능한 큰 병원으로 가야합니다. |
|
조산
|
37주 이전의 분만
|
|
질환
|
35~39세의 경우
|
40세 이상의 경우
|
임신중독증
|
2.0배 증가
|
3.0배 증가
|
전치태반
|
2.3배 증가
|
3.7배 증가
|
태반조기박리
|
1.3배 증가
|
1.4배 증가
|
조산
|
1.4배 증가
|
1.8배 증가
|
2.5kg 미만 저체중 출생아
|
1.7배 증가
|
1.9배 증가
|
제왕절개수술률
|
1.6배 증가
|
2.8배 증가
|
수혈을 요하는 산후 출혈
|
1.6배 증가
|
2.4배 증가
|
*35세 미만을 기준으로 함
40세 이상인 경우에는 35세 미만에 비하여 임신 합병증의 위험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시험관 임신의 발달로 난자 냉동(oocyte preservation)이라는 가임력 보존 기술도 일부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산모의 연령 증가에 따른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 다운증후군 등 태아 염색체 이상(예: 35세에서 태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분만 기준으로 약 0.5%)의 감소에만 관련될 뿐이고, 위에서 제시된 비교적 흔한 임신 합병증(예: 조산의 빈도 8~10%, 임신중독증의 빈도 5~8%)의 발생은 감소시키지는 않습니다. 또한 남편의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특정 유전질환 (상염색체 우성 질환)의 빈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35세 이상인 경우라도 흡연 및 고혈압, 당뇨, 비만, 기타 내외과적 질환 등의 위험 인자가 없는 경우에는 위에서 제시한 임신 합병증의 위험성은 다소 완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35세 이상이라도 둘째를 임신한 경우에는 초산모에 비하여 임신 합병증의 빈도는 현저히 감소합니다.
사회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결혼 및 출산 연령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2021년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결혼 후 2년 안에 첫째 아기를 낳는 비중은 51.7%로, 전년대비 3.8% p가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산부인과학의 관점에서는 가급적 일찍 아기를 갖는 것이 건강한 임신의 첫걸음입니다.
3. 고령 임신 주의사항
3.1 산전 검사 및 정기적 검사
임신을 하기 전에 본인이 어떤 질환을 가지고 있는 지를 사전에 점검해야 합니다.
임신하는데 문제가 있는 질환이 있는지를 사전에 알아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혈압, 혈당, 체중 등을 정기적으로 검사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알고 있어야 합니다.
3.2 기형아 검사
고령 임산부에게서 기형아가 태어날 확률이 1.5배 더 높습니다.
따라서, 기형하 검사를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임신 11-13주에 태아 염색체 이상을 보는 융모막 검사가 있고, 임신 중기에는 양수 검사를 통해 태아 염색체 이상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태아 이상 여부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3.3 부종 예방
고령 임산부는 손이나 발, 얼굴 등이 붓는 부종이 자주 발생합니다.
부종이 심해지면 통증이 발생하고 걷기가 힘들 수 있으며 혈액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피부 궤양도 발생할 수 있어서 빨리 부종을 해결해야 합니다.
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3.4 체중관리
임신을 하면 체중이 불어납니다. 그러나 과다하게 불어나면 임신성 당뇨 위험성이 커집니다.
또한 고령이면 임신성 당뇨에 걸릴 확률이 더 높습니다.
비만하게 되면 임신 중독증이나 출산 때 과다출혈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에 대해서는 아래글을 참고하십시오.
▶임신성 당뇨병 원인/위험성/진단/치료법/식단 및 관리법
3.5 짜고 매운 음식 자제
짜고 매운 음식은 고혈압의 원인이 됩니다.
3.6 꾸준한 운동
가벼운 운동을 매일 30분 이상 꾸준히 하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지만 신체 면역능력도 향상합니다.
3.7 식이 조절
○저나트륨, 저지방, 저당의 식사를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백질, 아미노산, 철분 등이 풍부한 생선과 고기를 섭취합니다.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적극적으로 섭취합니다. (당근, 브로콜리, 녹차, 적양 버섯 등)
○여러 가지 비타민과 항산화 물질, 오메가 3 지방산 등이 많이 함유된 견과류를 먹습니다.
○유산균이 포함된 요구르트, 키위, 토마토, 발효 음식 등을 먹습니다.
○햄, 베이컨, 햄버거, 라면 등과 같은 가공식품은 먹지 않습니다.
3.8 충분한 휴식
산모는 건강하게 자고 일어나야 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노력해야 하며 명상이나 심호흡 등 스트레스를 풀어내는 방법을 동원해 건강한 마음과 몸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3.9 금연과 금주
가임력을 높이고 기형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 금연하고 금주해야 합니다.
흡연은 태아에게 기형을 발생시커고 자폐증, ADHD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습니다.
산모뿐만 아니라 아버지도 금연해야 합니다.
자료출처
1. 산모 나이 증가에 따른 임신 합병증 증가, 바로 알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1.31)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 주요내용-2023~2027년 (0) | 2023.04.17 |
---|---|
쓴맛 나는 방울토마토 구토 유발-섭취 주의 (0) | 2023.04.03 |
응급의료 기본계획 비전/목표/단계별 중점과제/5년 후 달라질 모습 (0) | 2023.03.25 |
이유식 기본원칙/부모준비 사항/먹이는 시간과 양/주의할 점(23.6.20업데이트) (0) | 2023.03.23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대상/내용/접종목록/이용절차(23.6.20업데이트) (0) | 2023.03.23 |